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림기사 필답시험 기출문제와 답2020

by 임투수 2025. 3. 29.
반응형

2020년 7월25일(토) 2차 산림기사 필답 복원

1. 칼날웨어나비 (배점 3점)


2. 임황지황 (배점 6점)
- 임황조사 종류 5(8)가지를 적으시오
(13년 3회, 14년 1회, 15년 1회, 16년 1회, 18년 1회)
답> 임종, 임상, 임령, 혼효율, 영급, 경급, 수고, 수종, 소밀도, 축척

- 지황조사 항목 4가지를 적으시오(2016년 3회)
답> 지종, 방위, 경사도, 지리, 표고, 토성, 토심, 건습도, 지위, 하층식생

3. 소반구획요인(배점 3점)
- 소반을 구획하는 경우 3가지를 적으시오(2014년 2회)
① 기능이 상이할 때
② 지종이 상이할 때
③ 임종, 임상, 작업종이 상이할 때
④ 임령, 지위, 지리 또는 운반계통이 상이할 때

4. 법정영급면적 영급수(배점 4점)(1999년)
- 면적 1,200ha, 윤벌기 60년, 영계수 10일 때 법정영급면적 및 영급수를 구하시오.
   산림면적                     1,200
➜ 법정영급면적 = ------ ✖ 영계수 = ------- ✖ 10 = 200ha
                           윤벌기                        60

                산림면적  1,200
영급수 = -------- =  ----- = 6개
             법정영급면적 200

5. 정상가속침식(배점 3점)
- 산지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사방사업을 필요로 하는 침식은?(2010년 1차)
     ❸ 이상침식 =가속침식
​정상침식 : 평상시 자연스러운 침식
가속침식 : 홍수 등으로 인한 침식    

6. 면적령(배점 3점) (2004년)

                      f₁a₁+ . . . . fnan
- 면적령 = -------------------------------------- f : 면적
                       f₁+ . . . . fn


7. 횡단배수구설치장소(배점 4점)
- 임도의 횡단배수구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4군데를 적으시오.(2019년 2회)
답> ①종단기울기 변이점 ②구조물의 앞과 뒤,
③체류수가 있는 곳 ④ 외쪽물매로 옆도랑 물이 역류하는 곳,

5. 흙이 부족하여 속도랑으로 부적당 한곳
☞ 종구야 흙먹고 체했어? 역류하게


8. 입목도(배점 4점)
- 입목도의 의미와 표시방법을 쓰시오(2014년 2회)
답> 의미 : 정상임분축적에 대한 현실임분축적을 100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표시방법 : 현실임분축적/정상임분축적 × 100(%)


9. 흉고단면적합계(배점 2점)



10. 새집공법(배점 3점)
- 새집공법으로 안정녹화를 하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는?(2007.1차)
    ❶ 절개 암반지
암석 등에 구덩이를 파고 나무를 식재하는 녹화 공법

  
11. 가선집재순서(배점 3점)
답>공차주행 - 로프인출 - 초커설치 - 가로집재 - 적재주행 - 초커제거 - 모아쌓기


12. 시우량법(배점 2점)
- 면적 36ha, 강우강도 100mm/h, 유출계수가 0.8에서 0.5로 변하였을 때
감소량을 시우량법으로 계산하시오.(소수점 넷째자리 반올림, 2째자리 표기)
(유사문제2014년 2회)
→ 유역면적이 ha일 때
-합리식, 시우량법 구분 필수


13. 골막이구곡막이(배점 2점)
- 사방댐과 골막이의 차이점에 대해 4가지 쓰시오(2015년 3회)
사방댐과 골막이의 규모비교시 상대적으로 사방댐의 규모가 더 크다.
사방댐은 대수면과 반수면을 모두 축조하지만, 골막이는 반수면만 축조를 한다.
시공위치의 경우 골막이는 사방댐에 비해 계류의 상부에 위치.
골막이는 중앙부를 낮게 하여 물이 빠지도록 설계한다


14. 카메랄탁세(배점 4점)
- kameraltaxe(카메랄탁세) 계산인자 4가지를 쓰시오(13년 2회, 19년 3회)
답> ① 갱정기 ② 법정축적 ③ 현실축적 ④ 현실연간생산량
☞ 갱정기가 와서 법정에 서니 현실 생과 다르네


15. 4급선떼붙이기 그리시오(배점 4점)(2019년 2회)
①머리떼 ②선떼
③받침떼 ④ 바닥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