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제 나옴직한 예전 산림기사 필답 기출문제들

by 임투수 2025. 6. 22.
반응형

 

2006년 산림기사 필답 1회

2. 평판측량에서 평판을 설치시 오차 고려 3가지는?

○ 정준 - 수평 맞추기

○ 치심 - 중심 맞추기

○ 표정 - 평판을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

 

3. 수확조정법의 발달과정

○ 구획윤벌법

→급법ㆍ임분경제법)장량법)

① 구획윤벌법 : 전 산림면적을 윤벌기 연수와 같은 수의 벌구(단순구획윤벌법, 비례구획윤벌법)로나누어 매년 한 벌구씩 벌채하는 것.

② 재적배분법(BECKMANN) : 재적을 기준으로 한 방법으로 생장량을 고려하여

재적수확을 균등히 하는 것

평분법(HARTIG) : 윤벌기를 일정한 분기로 나누어 분기마다 (수확량을 균등)하게 하는 것

재적평분법 : 한 윤벌기에 대하여 벌채안을 만들고, 각 분기마다 벌채량을 균등하게 하는 것

ⓑ 면적평분법 : 장소적인 규제를 더 중시하여 각 분기의 벌채면적을 같게 하는 방법

ⓒ 절충평분법 : 면적평분법의 법정임분배치와 재적평분법의 재적보속을 동시에 실현하고자 하는 것.

 

4. 다음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2001년일때 소나무 10ha, 잣나무 10ha, 참나무 10ha

2002년일때 소나무 10ha, 잣나무 10ha, 참나무 10ha

2003년일때 소나무 10ha, 잣나무 10ha, 참나무 10ha

ha당 3000본 식재시 2004년 보식예정(보식율 20%), 추가로 수종당 5ha씩 조림한다면 총 필요한 묘목량은?

○ 보 식 량 : (10+10+10)⨉3000⨉0.2 = 18,000

○ 추가조림량 : (5+5+5)⨉3000 = 45,000 ∴가조림량 = 63,000(본)

5. 영림계획 순서?

○ (시업조사→연차계획

○ 영림계획→사업실행

6. 지형도상 능선=실선, 계곡선=점선 표시, 계곡에서 우수가 흐르는 방향 표시

등고선에서 능선과 계곡표시 우수방향 화살표로 (등고선상 들어간 곳 : 계곡 나온곳 : 능선 우수방향 : 능선 → 계곡)

 

7. 순토기에서 1/15, 1/20, 로 표시되는 것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1/20 : 측정하고자하는 나무에서 수평거리 20m에서 측정할 경우

○ 1/15 : 측정하고자하는 나무에서 수평거리 15m에서 측정할 경우

 

8. 토양 내 함수율, 함수비 구하는 공식과 설명

○ 함수비(W) 량(Ww)중량(Ws)

○ 함수율(W') = 물의 중량(Ww)중량(W)

 

9. 흙의 습윤 상태에서 단위 체적 중량을 (습윤밀도) 라 한다.

단위 용적의 흙속에서 포함된 토립자의 중량은 (건조밀도) 라고 한다.

 

10. 500ha 면적 에서 450ha가 산림생산임지이다. 회귀년 10년일때 현실축적 A, 법정축적 B, 갱정기 C, 생장량 D일 때 재적구하기

(카메랄탁세법으로 풀면됨)

 

11. 윤벌기, 갱정기, 회귀년, 설명하고 연결하는 문제.

1) 윤벌기 : 연년작업이 진행되는 작업급의 전임목을 일순벌하는데 요하는 기간이다.

2) 갱정기 : 임상개량을 완료할 때까지 요하는 예상적 기간이다.

3) 회귀년 : 택벌림의 벌구식 택벌작업에서 맨처음 택벌한 일정한 면적을 다시 택벌하는데걸리는 시간.

(1) 갱정기는 개량을 요하는 노령림이나 불량 임분이 많은 작업급에서는 윤벌기보다 짧고, 반대로 유령림의 경우에는 윤벌기보다 길다.

(2) 택벌림에 윤벌기를 설정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윤벌기가 회귀년의 정수배가 되도록 회귀년을 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12. 30년생인 임분에서 현실축적 87㎥, 법정축적 120㎥일 때, 40년생 임분에서 법정축적이 147㎥이면 현실축적은 얼마인가? (지위 12)

○ 87 : 120 = X : 147 ○ x = 106.575 ㎥

 

13. 계간 사방공사용 콘크리트댐 설계순서 (괄호안 넣기)

○ 축설예정지점의 측량 → 위치의 결정 → 방향의 결정(유심선과 직각) → 높이의 결정 → 형식의 결정 → 방소로 및 기타 부분의 설계 → 콘크리트배합설계 → 단면의 설계 → 물빼기구멍의 설계 → 물받이부위의 보호공법의 여부 및 설계 → 가배수로 및 물막이공법의 설계 → 수량의 산정 → 부대공사의 설계 → 설계서의 작성

 

14. 종단물매 3%, 횡단물매 4%일때 합성물매 구하는 문제

○ 풀 이 : (%)  루뜨안에 두개 다 넣고 제곱한것을 더하기 5

 

15.  토지기망가가 커지기 위한 인자 4가지

○ 주벌수입이 많을때 , ○ 간벌수입이 많을때,

○ 조림비가 적을때, ○ 관리비가 적을때

 

2006년 2회 산림기사 필답

1. 임도의 횡단선형을 구성하는 차도나비(유효나비)와 길어깨에 대해 설명하시오.(3점)

 차도나비 : 각종 차량 운행에 필요한 유효노폭을 말하는 것으로 간선임도는 4m, 지선임도는 3m가 표준규격이다

○ 길 어 깨 : 길가에 가까운 부분으로 교통로로는 사용할 수는 없으며 도로표식 등을 시설하는 곳이며 차량의 속도를 내기 위하여 필요한 여유폭이며 고장차를 대피시키거나 완속차 및 사람이 대피할 목적을 가지며 간선임도는 1m, 지선임도는 0.5m 이며 부득이한 경우 0.25m 로 할 수 있다

 

2. 현재 30년생 소나무의 ha당 축적 100㎥, 이는 정상적인 축적의 8할이다. 현재 이 임지가 가질 수 있는 정상축적을 계산하시오.(3점)

○ 100 ÷ 0.8 = 125㎥

 

3. 소나무 원목시장의 평균가격이 1㎥당 30,000원 벌채운반비 10,000원 조재율70% 월이율1% 자본 기업이익율10%이다. 1㎥당 임목가는 얼마인가? (3점)

○ 0.7 X ( 30,000 / ( 1 + 4 X 0.01 + 0.1 ) - 10,000 ) = 11,421 원/㎥

○ fm간, pr, B 및 기타비용

 

4. 삭도 가공본줄에 많이 사용되는 꼬임은 무슨 꼬임인지 쓰시오.(3점)

○ 로프의 꼬임과 스트랜드의 꼬임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된 랑(Lang)꼬임

 

 

삭도'는 공중에 매달린 밧줄에 운반기를 설치하여 사람이나 물건을 운송하는 교통수단 을 의미

 

5. 수확표에 의한 계산으로 법정축적을 구하시오.(단, 산림면적100ha, 윤벌기50년) (3점)

연령
10
20
30
40
50
재적
21
180
366
521
645

 

○ 10⨉(2121028,210㎥

 

6. 도태간벌시 미래목과 제거대상임목의 선정기준을 쓰시오. (3점) 신고임업경영학 231p

○ 미래목 : 최종수확기까지 잔존 보육할 임목으로 피압을 받지 않은 상층의 우세목으로 선정하되 폭목은 제외하며 나무줄기가 곧고 갈라지지 않으며 병충해 등 물리적인 피해가 없어야 하며 미래목간의 거리는 최소 4m 이상으로 임지 내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야 한다. 1ha당 최대 400본 이내가 적당하다.

○ 제거목 : 미래목의 수관생장을 억압하는 생장경쟁목, 미래목의 수관과 줄기에 해를 입히는 나무, 피해목, 형질이 불량한 중용목과 상층목, 폭목, 덩굴류, 회초리나무 피압목, 과밀한 것 등

○ 유용목 : 임분보육이나 발생억제 등을 위해 잔존시킨다.

 

7. 토양의 입자를 국제토양학회법의 기준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고 각 토양의 입자의 입경을 표시하시오. (4점)

입자의이름
국제 토양학회법 기준
한국 토양학회법 기준
자갈(gravel)
2.00 이상
2.00 이상
거친모래(coarse sand)
0.2 ~ 2.00
0.25 ~ 2.00
고운모래(fine sand)
0.02 ~ 0.2
0.05 ~ 0.25
미사(silt)
0.002 ~ 0.02
0.01 ~ 0.05
점토(clay)
0.002 이하
0.01 이하

 

8. Mattews의 적정임도밀도(간격) 이론을 설명하시오. (3점)

  임도의 개설이 늘어남에 따라 임도밀도가 증가되어 집재비, 조재비, 관리비는 낮아지지만 임도개설비, 임도 유지관리비, 운재비는 증가한다. Matthews는 생산원가 관리이론을 적용하여 임업생산비 중에서 임도개설연장의 증감에 따라 현격하게 변화되는 주벌의 집재비용과 임도개설비의 합계를 가장 최소화시키는 이론이다.

 

9. 사유림 영림계획 작성 시 주벌에 해당하는 주요 작업종 3가지만 쓰시오.3점

○ 개벌작업(모두베기), 모수작업, 택벌작업(골라베기), 왜림작업

 

10. 사방 파종공법의 종류 4가지를 쓰시오. (4점)

○ 줄뿌리기(줄씨뿌리기, 斜面條播工, Strip seeding measures)

○ 흩어뿌리기(흩어씨뿌리기, 斜面散播工, 斜面混播工, Broadcast seeding measures)

○ 점뿌리기(점씨뿌리기, 斜面点播工, Spot seeding measures)

○ 항공파종공법(航空播種工法, Aerial seeding measures)

 

11. 굴삭기로 터파기를 하려고 한다. 버킷용량0.4㎥ 버킷계수0.7 토량환산계수0.75 작업효율0.55  1회 사이클 시간이 19초일때 시간당 작업량(㎥/hr)을 구하시오. (3점)

굴삭기의 시간당 작업량 공식은

Q =
3,600q Q업량 q f수
Cm
E K Cm클 시간

1has

3,600 X 0.4 X 0.7 X 0.75 X 0.55 / 19 = 21.8842 ㎥/hr

 

12. 등고선구공법의 시공목적을 설명하시오. (3점)

○ 토양침식을 방지하고 강수를 저수시켜 산지의 이수와 토사간지기능을 높여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의 보급원으로 만들기 위한 수토보전 공법이다. 유사한 공법으로 확수구공법, 보수구공법, 계단식집수구공법 등이 있다.

 

13. 어떤 임분을  소반으로 구획한 결과 형태 및 각변의 길이가 다음과 같다. 소반의 면적을 헤론의 공식(삼변법)에 의해 면적을 계산하시오. (3점)

(각 변의 길이가 각각 18cm, 16cm, 22cm 삼각형임)

   *헤론의 공식 : 3각형의 3변의 길이를 a, b, c라 하면, 그 넓이 S는

 

14.  빌트모아스틱의 사용원리를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공식은 제외) (4점)


길이가 50cm 가량 되는 막대기에 눈금을 새겨서 사용하는 것으로 자를 가슴높이 부위의 줄기에 수평으로 대고 한눈으로 보아 왼쪽 눈금 0 이 나무의 왼쪽끝과 일치하게 한 후 자를 움직이지 말고 그 눈으로 나무의 오른쪽 끝과 일치하는 자눈금을 읽으면 그 수치가 그 나무의 가슴높이 지름이 된다.

 

- 직경과 빌트모아스틱의 길이간의 관계(눈에서 50cm거리)

자의

길이

cm
눈금

(직경)

cm
자의

길이

cm
눈금

(직경)

cm
자의

길이

cm
눈금

(직경)

cm
자의

길이

cm
눈금

(직경)

cm
자의

길이

cm
눈금

(직경)

cm
4.77
5
9.13
10
13.16
15
16.90
20
20.41
25
5.67
6
9.96
11
13.93
16
17.62
21
21.09
26
6.56
7
10.78
12
14.69
17
18.33
22
21.79
27
7.43
8
11.58
13
15.43
18
19.02
23
22.42
28
8.29
9
12.37
14
16.17
19
19.73
24
23.07
29
                23.72
30
                24.36
31

 

15. 우리나라 영림계획 작성시 적용하는 절충평분법의 정의를 쓰고,

시행단계를 3가지로 구분하여 쓰시오. (4점)

○ 정의 : 재적평분법과 면적절충법을 절충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Heyer 법을 사용

○ 시행단계

① 작업급 구성․윤벌기 결정․분기설정 등은 면적평분법과 같다.

② 임․소반의 산림구획을 실시하여 각 분기의 벌채면적을 법정분기 면적과 같게 조절하고 전윤벌기에 걸친 면적경리안을 작성한다.

③ 재적수확은 보통 2~3분기까지 엄정 보속을 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데, 제1분기는 소반단위로 재적수확이 같은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고, 이의 합계는 제2분기 재적수확과 같도록 한다.

 

16. 임도예정선 측량시 필요한 다음사항을 쓰시오. (4점)

- 도구종류(3가지) : 경사측정기, 거리측정기(자), 방위각 측정기(컴파스)

- 인력소요규모 : 외업과 내업을 합하여 측량자 1-1.5인 보조자 2.5-4인

- 피해야할 지역 : 늪과 같은 습지, 붕괴지, 산사태지와 같은 지반이 불안정한 산지사면, 암석지, 홍수범람지역, 소유경계

- 통과지역 : 안부, 여울목, 급경사지내의 완경사지, 공사용 자재의 매장지와 산재지

 

 

2006년 제3회 산림기사필답

1. 임도의 곡선 설치방법 3가지 (3점)

○ 교각법, 편각법, 진출법

 

2. 임도망을 계획시 고려해야할 사항 4가지 (4점)

1) 운재비가 적게 들도록 한다. 2) 운반도중에 목재의 손모를 적도록 한다.

3) 신속한 운반이 되도록 한다. 4) 운반량에 제한이 없도록 한다.

5) 운재 방법이 단일화되도록 한다.

6) 일기 및 계절에 따른 운재능력의 제한이 없도록 한다.

 

3. 임도의 노면처리방법을 4가지만 쓰고 설명하시오 (4점)

(단 간이포장 및 콘크리트 포장 제외)

1) 토사도 : 노면이 자연지반의 흙으로 된 도로 또는 여기에 입자를 조정하여 인공적으로 개량한 도로.

2) 사리도 : 노상위에 자갈을 깔고 점토나 토사를 덮은 다음 롤러로 진압시킨 도로.

상치식과 상굴식이 있다.

3) 쇄석도 : 부순돌 끼리 서로 물려서 죄는 힘과 결합력에 의하여 단단한 노면을 만든

것으로 임도에서 가장 많이 사용.

4) 통나무길 : 노면의 횡단방향에 지름20cm 정도의 통나무를 깔아서 만든 길인데 다량의 목재를 필요로 하고 손모도 많으므로 특수한 곳에서 부득이한 경우에 사용된다.

5) 섶 길 : 노상위에 지름30cm정도의 섶다발을 가로방향으로 깔고, 그 위에 20~30cm로 성토하여 노면을 만든 것이다.

 

4. 단목의 연령을 측정하는 방법 4가지 (4점)

○ 기록에 의한 방법, 목측에 의한 방법, 지절에 의한 방법, 생장추에 의한 방법

 

5. 자연휴양림예정지 판정등급이 최적지일 때의 현지 평가점수는 몇점 이상인지 쓰시오(2점)

○ 85점 이상 최적

 

6. 말구직경이 17cm, 중앙직경이 20cm, 원구직경이 22cm인 3m길이의 통나무재적을 후버식으로 구하시오. (단, 파이는 3.14 답은 소숫점 4째자리에서 반올림 3자리까지구함 ) (3점)

○ 0.785 x (0.2)² x 3 = 0.0942 -> 0.094

 

7. 트랙터에서 타이어바퀴식에 비하여 크롤러바퀴식이 갖는 장점 2가지 (2점)

1) 중심이 낮아 경사지에서의 작업성과 등판력이 우수함. 회전반지름이 작음.

2) 견인력이 크고 접지 면적이 커서 연약지반, 험한 지형에서도 주행성이 양호하며 임지, 작업도에 대한 피해가 적음

 

8. 영선과 영면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림으로 표현하시오 (3점)

○ 영선(0선) : 영점을 연결한 노선의 종축, 경사면과 임도시공 기면과의 교차선으로 노반에 나타남. 임도시공시 절토작업과 성토작업의 경계선.

 영면(기면, 0면) : 임도상 영선의 위치 및 임도의 시공기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한 면

 

9. 수고 측고기의 사용 시 주의사항 3가지 (3점)

1 )경사지에서는 가능하면 등고위치에서 측정.

2) 초두부와 근원부를 잘 볼 수 있는 위치에서 측정

3) 입목까지의 수평거리는 될 수 있는 대로 수고와 같은 거리를 취한다.

수평거리를 취할 수 없을 때는 사거리와 경사각을 측정해서 수평거리를 환산한다.

 

10. 영림계획 운용과정 순서 (3점)

○ 영림계획 -> 연차계획 -> 사업예정 -> 사업실행 -> 조사업무

 

11. 첨단 임목 수확 장비인 하베스트와 프로세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2점)

○ 하베스터는 프로세스와 달리 임목을 벌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12. 국유림 경영계획에서 소반마다 조사하는 사항으로 맞는 것을 고르시오 (4점)

보 기
1. 초본류의 종류와 지면 피복도
2. 침엽수림
3. 소경목
4. 천연림

 

( 가. 임종 나. 임상 다. 경급 라. 하층식생 )

○ 1 - (라) 2 - (나) 3 - (다) 4 - (가)

 

13. 시장가 역산법 문제 (3점)

 

14. 어느 임분의 (25년생 현실재적이 ha당 89.46㎥)이고 이에 상응하는 (수확표상의 재적이 99.89㎥, 연년생장량이 8.38㎥)이라면 ha당 현실생장량은 얼마인가? (3점)

○ 89.46 : 99.89= x: 8.38 x= 7.505 ≒ 7.51

 

15. 흙깎기 비탈면이나 흙쌓기 비탈면의 비탈 길이가 길 때에 그 비탈면이 빗물에 의하여 침식되거나 무너지기 쉽다 이와 같은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해 비탈면 최상부 즉 비탈면에 어깨부위와 원래 적당한 곳에 설치하는 비탈 배수로는 (2점) ○ 비탈 어깨 돌림수로 (비탈면 돌림수로)

 

16. 다음 A.B선상에서 A점의 성토물매 1:1 B점의 절토물매 1:0.3을 표시하시오 (단 반드시 물매상 가로세로 비율치수를 기입할것)

 

2007년 산림기사 1회 필답

1. 산복사방용 수종으로 요구되는 수목조건 3가지 쓰시오(3점)

1) 생장력이 왕성하여 잘 번무할 것.

2) 뿌리의 자람이 좋고, 토양의 긴박력이 클 것.

3) 척악지, 건조, 한해, 풍해 등에 대하여 적응성이 클 것.

4) 갱신이 용이하게 되고, 가급적이면 경제가치가 높을 것.

5) 묘목의 생산비가 적게 들고, 대량생산이 잘 될 것.

6) 토양개량효과가 기대될 것.

7) 피음에도 어느 정도 견디어 낼 것.

 

2. 다공정임목수확장비는 작업능률이 매우 높으므로 적절한 작업장소에 투입하면

기존의 작업방법보다도 생력효과와 작업의 경제성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으나,

여러가지 제약점을 갖는다. 다공정임목수확장비의 제약점 4가지 쓰시오(4점)

1) 지형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주행성이 좋은 기본장비에 탑재되어야 한다.

2) 급경사지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임상이 균일한 임지내에서만 작업이 가능하다.

3) 숙련도가 높은 작업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4) 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경제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치밀한 작업계획을 작성해야한다.

3. 임도의 절토비탈면이 1:0.8인 절토지반에 전체 절토고가 5m이면 이때의 수평거리는 얼마인지 구하시오(2점)


1 : 0.8 = 5 : x

x = 4

답 : 4m

 

4. 임지평가방법중 임지기망가의 정의(2점)

- 임지기망가 : 당해 임지에 일정한 시업을 영구적으로 실시한다고 가정 할 때 그

토지에서 기대되는 순수익의 현재 합계액을 말한다.  

 

5. 사방댐의 주요기능 3가지(3점)

1) 계상기울기 완화 / 종침식 방지

2) 산각을 고정하여 붕괴를 방지하는 작용.

3) 계상에 퇴적한 불안정한 토사의 유동을 방지하여 양안의 산각을 고정하는 작용. 

 

6. 벌도맥(holding wood)의 목적 3가지(3점)

1) 나무가 넘어지는 속도를 감소시켜준다.

2) 작업의 안전과 벌도목의 파열을 방지해준다.

3) 임목의 넘어갈 방향을 지시하는데 도움을 준다.

 

7.임도설계도면 작성전가지 준비 작업을 순서에 따라 4단계로 나누고 간단히 설명하시오(4점)

  <예비조사 - 답사 - 예측 - 실측>

- 예비조사 : 임도설계에 필요한 각종 요인을 조사하여 개괄적인 검토 작업을 함.

- 답 사 : 지형도 상에서 검토한 임시노선에 대해 현지에 나가서 그 적부를 조사하여 노선선정의 대요를 결정하기 위한 것.

- 예 측 : 답사에 의해 노선의 대요가 결정되면 예정노선을 간단한 기계로 실측하여 예측도를 작성

- 실 측 : 예측에 의해 구한 노선을 현지에 설정하여 정밀한 측량을 실행하는 것.

(평면측량, 종단측량, 횡단측량, 구조물조사)

 

8. 임반, 소반의 번호부여방식을 각각 설명하기(2점)

- 임반번호는 시계방향으로 1, 2, 3, 4 ... 로 매긴다

- 소반번호는 시계방향으로 소반명을 연속으로 1-1-1, 1-1-2 등으로 부여하거나

- 보조소반의 경우 1-1-1-1,1-1-1-2 등으로 표기한다.

 

9. 흉고직경 22cm, 수고 10m인 소나무의 수간재적을 구하시오(흉고형수= 0.45)(3점)

○ v=ghf, g=∏(파이)/4×d²

○ 0.785 x (0.22)² x 10 x 0.45 = 0.170973㎥

10. 산림의 수확조절 방법중 주림무육을 위주로 하는 조사법(check method)의

문제점 3가지 쓰기(3점)

1) 생장량의 조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기술을 필요로 한다.

2) 경영자는 경험에 의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적 숙련을 요한다.

3) 현실림은 개벌에 의한 동령 일제림이 많으므로 적용범위가 선택적이다.

4) 집약적 작업이니까 대단위 산림경영에는 적용이 어렵다.

 

11. 소나무원목의 시장도매가격이 1㎥당 6,000원, 1㎥당 벌채 운반비 등의 비용이 3,000원, 조재율 0.7, 투하자본의 월이율 2%, 자본회수기간이 4개월, 기업이익률이 10%라고 할 때 1㎥당 임목가를 계산하라.(시장가역산법)

<td style="background-color: #ffffff



f
A
-B)

 

 

 

 

반응형